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방꾸석 식품정보14

가을 제철 자연산 대하와 흰다리새우의 특성과 차이 등을 확인해보자 가을 새우는 굽은 허리도 펴게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맛에 놀라 허리가 펴지고 그 영양이 건강을 회복시켜 곧은 몸을 만들어준다는 의미인데요. 자연산 대하와 흰다리새우가 대표적인 우리나라의 가을 새우는, 쫄깃하고 탱글탱글한 식감과 육질의 진한 단맛, 내장의 고소한 맛까지 더 해서, 호불호 없이 대부분의 사람들의 미각을 확실하게 사로잡고 있습니다. 이렇게 국민적인(어쩌면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있는 새우의 국내 조업 역사는 그야말로 드라마틱하다 할 수 있는데요, 자연산 대하에서 양식 대하를 거쳐 양식 흰다리새우로 국내 새우 어업의 흐름이 이어지기까지를 한 번 정리해보고, 자연산 대하와 흰다리새우의 특성, 제철, 그 차이 등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연산 대하 vs 양식 대하 vs 양식 흰다리새우 자연.. 2021. 6. 22.
낙지 금어기 지역별로 조금씩 다르니 확인하세요 갯벌의 산삼, 기절한 소도 일으킨다는 자양강장의 상징인 낙지의 개체수 회복을 위해 해마다 금어기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공동 금어기는 6월 1일~6월 30일까지이지만, 수온이나 여러 환경적 특성에 따라 지역별로 기간이 조금씩 다릅니다. 낙지 금어기 낙지의 금어기는 6월 1일~6월 30일입니다. 단, 시도지사가 4월 1일~9월 30일 기간 중 1개월 이상의 기간을 지역별로 별도 고시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인천, 경남, 경기 지역은 6월 21일~7월 20일, 충남 가로림만, 근소만은 4월 1일~5월 31일, 경남 지역은 6월 16일~7월 31일입니다. 낙지의 산란기 어느 어종이나 그렇지만 낙지도 역시 산란기 보호를 위해 금어기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낙지의 산란기는 지역의 환경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 2021. 6. 12.
시원한 여름 보양식 닭요리 초계탕 vs 임자수탕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었습니다. 올해에는 예년보다 더욱 더위가 기승을 부릴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벌써부터 더위와의 전쟁에서 어떻게 이겨야 할지를 고민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아무래도 좋은 음식으로 떨어진 기력을 회복시키고 여름을 날 수 있게 활력을 보충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손쉬운 방법일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삼복을 중심으로 보양식을 챙겨 먹는 문화가 많이 발달해있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의 보양식을 대표하는 닭요리 수많은 보양식 다양한 식재료들 중에서도 닭은 보양식을 대표하는 요리 재료입니다. 맛이 담백하고 부드러우며 다른 식재와의 조화가 좋고 요리가 까다롭지 않습니다. 또한 소고기나 돼지고기보다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적고 단백질과 다양한 유익 성분 함량이 높아 소화가.. 2021. 5. 31.
대게 홍게 꽃게 털게 등 금어기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지난번 주꾸미와 돌문어 금어기 정보에 이어, 오늘은 갑각류(대게, 홍게, 꽃게, 털게, 대하, 닭새우 등)의 금어기 정보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갑각류 어종의 금어기는 대부분 지난해와 일치하고 있으며, 특별히 추가되거나 제외된 어종이 따로 있지 않아서 이 포스트의 내용은 알고 계시는 정보를 확인차 참고하시면 될 듯합니다. 대게 홍게 꽃게 털게 금어기 1. 대게 대게 금어기는 6월 1일~11월 30일입니다. 동경 131도 30분 동쪽 수역의 먼바다는 6월 1일~10월 31일까지만 금어기에 해당하여, 11월 대게 조업이 가능합니다. 다만 이 금어기는 대게 수컷에게 해당하는 것으로, 암컷 대게는 연중 포획 금지하고 있습니다. 금어기의 지정은 알고 계시듯이 어종의 산란기를 보호하여 어족자원을 늘리기 위함입니다. .. 2021. 5. 30.
반응형